FRED 사이트 활용 방법
미국 주식을 투자하시는 투자자분들에게 미국 경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은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.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여러 가지 경제 데이터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사이트인 FRED(Federal Reserve Economic Data)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FRED 사이트는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에서 제공하는 경제 데이터베이스로, 수많은 국가, 경제, 공공 및 민간 출처의 경제 데이터 시계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.
경제 데이터 확인 방법
FRED 사이트에서 활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요. 먼저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가운데에 ‘Search FRED data’라는 검색 창이 나타납니다. 이 검색 창을 통해 원하는 경제 데이터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’10-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-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’를 입력하시면 해당 데이터를 찾으실 수 있는데요. 제목이 조금 길기 때문에 검색어는 간단하게 ’10 year 2 year’과 같이 입력해도 자동검색 기능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(※ 추가적으로, 어떤 데이터를 확인할지 잘 떠오르시지 않는다면, ‘Trending Search Terms’의 키워드를 눌러서 사람들이 관심 있게 보고 있는 데이터들을 확인해 보실 수도 있습니다.)

키워드 검색을 통해 나온 ’10-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-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’이라는 제목의 데이터를 누르시면 장단기 금리차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.
데이터 확인과 분석
선택한 데이터를 클릭하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그래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텐데요.

FRED에서는 시계열 데이터의 동향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데이터 그래프 아래에 데이터 전체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하나 더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아래에 있는 그래프의 간격을 조정하면 위에 데이터도 아래 간격만큼 변동하기 때문에 경제 데이터의 변동 추이를 쉽게 파악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국가별 데이터 탐색
FRED 사이트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경제 데이터를 다루는 사이트이지만, 일부 타국가의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어서 필요한 국가의 경제 데이터를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GDP 데이터의 경우 한국의 데이터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이 외에도 태그, 카테고리, 출처, 발표일자 등 다양한 기준으로 검색 및 정렬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되는데요. 이걸 활용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마무리
FRED 사이트는 경제 데이터를 활용하여,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트렌드를 파악하는 활동에 꼭 필요한 사이트라고 생각합니다. 이렇게 경제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, 보다 정확하고 근거 있는 분석을 할 수 있으며, 투자 관련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으리라 판단됩니다.
지금까지 FRED 사이트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 이번 포스팅이 미국 경제 데이터를 확인하고 투자에 활용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!